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Diffusion Current
- 재결합(Recombination)
- 서울 경찰서 위도/경도
- Energy Band
- Semiconductor
- Ambipolar transport equation
- Fermi Energy Level
- 나노분석평가
- 물리전자
- Density Of states function
- Mobility
- 생성(Generation)
- 캐리어 농도
- Drift Current
- KANC
- Scattering
- 앰비폴러 전송 방정식
- 확산 전류
- 페르미 에너지 준위
- 한국나노기술원
- 서울 자치구별 경찰서
- Excess Carrier
- 에너지밴드
- 과잉 캐리어
- neamen
- Charge Carriers
- Wave Function
- 반도체공학
- 유효질량
- 파동 함수
- Today
- Total
읽고 기록하는 삶
[물리전자] 1.1 반도체 물질(Seiconductor Materials) 본문
1.1 Semiconductor Materials
반도체란 금속과 절연체 사이의 전도성을 갖는 재료를 말합니다. 반도체를 나누는 일반적인 두 가지 분류가 있습니다.
첫 번째는 주기율표 상에서 4족에 위치해 있는 반도체입니다.
이를 the elemental semiconductor materials라고 합니다.
이러한 반도체는 Silicon 또는 Germanium과 같이 한 종류의 원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Silicon은 가장 흔한 반도체 재료로 알려져 있습니다.
두 번째는 주기율표 상의 3족과 5족의 원소들로 이루어진 혼합물 반도체입니다.
이를 the compound semiconductor materials라고 합니다.
이러한 반도체는 두 가지 혹은 그 이상의 원소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하나의 화합물이 두 가지(binary) 혹은 세 가지(ternary) 원소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
가장 많이 쓰이는 혼합물 반도체 중 하나가 바로 GaAs(Galium Arsenide)입니다.
좋은 광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광학장비에 활용되며 뿐만 아니라 빠른 동작이 필요한 디바이스를 만들 때도 사용됩니다. 한편, AlxGa1-xAs와 같은 세 종류의 원소로 구성된 화합물도 만들 수 있습니다.
이때 아래 첨자의 x는 Aluminum과 Gallium의 비율을 말합니다.
이러한 방법으로 다양한 복잡한 반도체를 만들 수 있습니다.
(혼합물 반도체는 2족과 6족의 원소들로 이루어진 경우도 있습니다. 이러한 경우는 이 책에서 다루지 않습니다.)
다음은 주기율표의 일부분과, 몇 가지 반도체 재료들에 대한 목록입니다.
추가적으로,
이번 포스트를 작성하면서 개인적으로 궁금증이 생겨 구글링을 해봤는데요.
왜 GaAs는 빠른 동작이 필요한 장비에 주로 사용되는지 알고 싶었습니다.
관련 논문에서 이유를 찾을 수 있었는데, 바로 GaAs의 기본적인 특성 때문입니다. 그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.
1) high electron mobility
2) high electron drift velocity
3) stable Schottky barrier height at room temperature
4) the existence of thermally stable semi-insulating substrates
5) the ability to form a variety of heterojunctions on these materials
GaAs의 이러한 특징들을 활용하여, 빠른 동작을 필요로 하는 device에 사용됩니다.
참고 문헌
Kuzuhara, Masaaki, and Shinichi Tanaka. "GaAs-based high-frequency and high-speed devices."JSAP Int7 (2003): 1-11.
다음 글에서는, 고체 크리스탈 구조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.
감사합니다!
'Semiconductor > Device Physi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물리전자] 1.3.3 크리스탈 평면과 밀러지수 (0) | 2020.05.13 |
---|---|
[물리전자] 1.3.2 기본 크리스탈 구조 (4) | 2020.05.05 |
[물리전자] 1.3 공간 격자(Space Lattices) (0) | 2020.05.02 |
[물리전자] 1.2 고체의 유형(Types of Solids) (0) | 2020.04.30 |
[물리전자] SEMICONDUCTOR PHYSICS AND DEVICES (0) | 2020.04.28 |